요즘 우리나라 국장 빼고는 다들 주식 시장이 훨훨 날고 있던데, 우리 나라는 언제 다시 코스피 4,000 탈환하러 갈까요?
기다리고 기다리다 점점 지쳐가고 있네요 ㅎㅎ
그래도 조금씩 힘을 내서 기초 공부에 힘을 내 보시죠!
주식 투자를 할 때 사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어떤 종목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 것이가?
이 부분이 제일 힘든 부분이고, 사실 가장 중요한 부분이에요 ^^
현재의 주가가 어떤 수준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한 것이지요!
그래서 통상 주식 투자자들이 여러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살펴보지만, 오래된 주식 투자 판단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표가 PER과 PBR입니다.
사실 PER 뜻과 PBR 뜻을 살펴보면 어려운 개념을 아닙니다만, 사실상 완벽한 평가 기준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여러 지표 중 참고할 필요가 있는 지표로 기본 개념정도의 이해는 해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가장 주가 평가의 기본 중에 기본인 PER 뜻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ER 뜻]
주식에서 PER 뜻은 "Price-Earnings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 PER 뜻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PER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PER 뜻에 나타난 의미는 특정 주식이 고평가되어 있는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PER의 계산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 (EPS) → EPS와 BPS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돌아옵니다 ^^
예를 들어보면서 PER 뜻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한 회사의 주가가 100달러이고 주당 순이익(EPS)이 5달러인 경우, 이 회사의 PER는 20이 됩니다:
PER = 100 / 5 = 20
2. PER의 해석
- 높은 PER 뜻: 높은 PER 뜻은 투자자들이 해당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PER는 주가가 과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낮은 PER 뜻 : 낮은 PER 뜻은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낮은 PER는 회사의 성장 전망이 좋지 않거나, 재정 상태가 불안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3. PER의 활용
- 동일 업종 비교: PER는 동일 업종 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산업마다 평균적인 PER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 업종 내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신소재/바이오/이차전지 등 성장 산업에서는 PER이 높더라도 PER 뜻을 고평가로 보지 않는 반면, 금융/부동산 등 가치 산업에서는 적정 PER을 매우 낮게 보기 때문에 업종별 PER 뜻과 의미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여 적정 주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 역사적 비교: 한 회사의 과거 PER와 현재 PER를 비교하여 주가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현재 PER가 낮다면 주가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시장 평균과 비교: 전체 시장의 평균 PER와 비교하여 특정 주식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PER의 한계
- 이익 변동: PER는 주당 순이익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이익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PER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회계 정책: 회사의 회계 정책에 따라 순이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PER는 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 성장률 반영 부족: PER 뜻에 나타난 바와같이 현재의 이익을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 뜻과 함께 PEG Ratio(Price/Earnings to Growth ratio)와 같은 다른 지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ER 뜻에 대한 종합)
PER 뜻과 의미는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분석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업종별/시장 상황별 PER 뜻과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투자자는 보다 신중한 투자 결정을 하는 부분이 중요합니다.
앞서서 PER 뜻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다음으로는 PBR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장의 상황과 시대에 따라서 우선시 되는 지표들이 달라지는데, 과거 한창 PBR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PBR 외 다른 지표들이 더 많이 판단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개념적인 부분만 알고 있으면 될 것 같습니다.
[PBR 뜻]
주식 시장에서 "PBR 뜻"은 "Price-to-Book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 PBR 뜻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PBR은 주식의 현재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Book Value)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 뜻은 주식이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1. PBR의 계산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Book Value per Share, BPS) → EPS와 BPS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돌아옵니다 ^^
- 주가: 주식의 현재 시장 가격
- 주당 순자산 (BPS): 회사의 순자산을 총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예를 들어 보면서 PBR 뜻과 의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 회사의 주가가 50달러이고 주당 순자산이 25달러인 경우, 이 회사의 PBR는 2가 됩니다:
PBR = 50 / 25 = 2
2. PBR 뜻과 의미의 해석
- PBR > 1: 주가가 순자산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회사의 미래 수익성이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PBR < 1: 주가가 순자산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이는 회사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미래 수익성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3. PBR의 활용
- 동일 업종 비교: PBR 뜻과 의미는 동일 업종 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산업마다 평균적인 PBR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 업종 내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PBR 뜻과 의미 역시 PER 뜻과 의미 판단과 마찬가지로 업종별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업종 특성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역사적 비교: 한 회사의 과거 PBR와 현재 PBR를 비교하여 주가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현재 PBR가 낮다면 주가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시장 평균과 비교: 전체 시장의 평균 PBR와 비교하여 특정 주식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PBR의 한계
- 자산 평가의 정확성: 회사의 자산 평가가 정확하지 않거나 변경되는 경우, PBR도 왜곡될 수 있습니다.
- 비유형 자산의 과소평가: 순자산(Book Value)은 물리적 자산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브랜드 가치, 특허, 연구 개발 등 비유형 자산의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성장률 반영 부족: PBR 뜻과 의미에는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BR과 함께 다른 재무 지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BR 뜻에 대한 종합)
PBR 뜻과 의미는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PER과 마찬가지로 단독 지표로 사용하기에는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기타 지표들과 함께 판단하는 현명함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현 주가의 고전적인 평가 방법인 PER 뜻, PBR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PER 뜻과 PBR의 뜻을 요약하면,
PER 뜻은 현재의 이익을 나타내는 EPS와 주가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PBR 뜻은 순자산을 나타내는 BPS와 주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결론적으로 PER, PBR이 낮으면 저평가로 판단할 수는 있겠지만, 이 지표가 반드시 투자 적기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꼭 이해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미래 성장 가치에 대한 부분 미반영 됨)
쉽고도 어려운게 경제 용어임은 틀림이 없는 부분이지만, 한가지씩 이해하다 보면 전체적인 큰 그림이 그려지는 날이 반드시 올 겁니다!
모두들 투자 전문가가 되셔서 부자 되시는 그날까지 같이 공부해 보아요 ^^
오늘도 즐거운 밤 되시고, 부자되는 꿈 꾸는 날 되세요 ♥

'재테크 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한걸음)유상증자 뜻, 무상증자 뜻 그리고 호재, 악재에 모든 것! (3) | 2024.06.20 |
---|---|
(열걸음)BPS 뜻, EPS 뜻 그리고 투자 판단 관점! 기본은 알고가자! (2) | 2024.06.12 |
(여덟걸음)적금, 펀드 그리고 ETF 뜻! 금융 투자 상품 모든 것! (4) | 2024.06.04 |
(일곱걸음)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다우, S&P 500! 주식 시장 종류의 모든 것! (7) | 2024.05.31 |
(여섯걸음)금투세는 무엇이고, 금투세 시행 영향은? (6) | 202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