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첫걸음

(일곱걸음)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다우, S&P 500! 주식 시장 종류의 모든 것!

by 끝이 보이는 시작 2024. 5. 31.
반응형

우리가 한걸음한걸음씩 경제 용어와 투자 방법들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결국 우리같은 일반인들이 가장 접근하기 쉬운 투자 방법이 바로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방법이지요!

 

물론 주식 시장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올린다는 부분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닙니다만, 

초기 접근도 쉽고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기 때문에 많은 일반 분들이 선호하는 투자 상품이 바로 주식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 시장은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습니다. 물론 코넥스라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장도 있지만, 오늘은 생략할께요 ㅎㅎ

그리고 미국의 주식 시장은 나스닥, 다우, S&P 500라는 시장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각 나라의 주식 시장에는 여러 종류의 거래소가 있는데, 거래소별로 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늘은 한국과 미국 주식 시장 거래소별 특성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한국 주식 시장 거래소인 코스피와 코스닥의 특성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는 한국의 두 주요 주식시장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주식 시장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코스피, 코스닥 시장 성격과 규모:
    • 코스피 (KOSPI): 코스피는 한국거래소(KRX)가 운영하는 주식시장 중 하나로,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한국 경제를 대표하는 주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의 주요 주가 지수로도 사용됩니다.
    • 코스닥 (KOSDAQ): 코스닥은 한국의 벤처기업 및 중소기업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는 주식시장입니다. 기술 중심의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코스닥은 한국의 나스닥(NASDAQ)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2. 코스피, 코스닥 상장 기준:
      • 코스피: 상대적으로 높은 상장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의 규모, 재무 상태, 이익 등 여러 가지 엄격한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 코스닥: 코스닥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장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혁신적이거나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합니다. 특히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중시합니다.
  3. 코스피, 코스닥 시장 지수:
    • 코스피 지수: 코스피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계산되는 지수로, 한국 주식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냅니다.
    • 코스닥 지수: 코스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계산되는 지수로, 기술주와 중소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4. 코스피, 코스닥 투자자 성향:
    • 코스피: 대형주와 안정적인 기업들이 많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선호됩니다.
    • 코스닥: 고성장 중소기업과 기술주가 많아,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리스크도 큽니다.
  5. 코스피, 코스닥 역사:
    • 코스피: 1983년에 설립된 한국 증권 시장의 전통적인 주식시장입니다.
    • 코스닥: 1996년에 설립된 벤처기업을 위한 주식시장으로, 더 젊은 시장입니다.

이러한 차이점들 때문에 코스피와 코스닥은 서로 다른 투자 전략과 목적을 가진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코스피, 코스닥과 연계된 지수 중에 코스피 200 등의 명칭으로 된 지수들이 있는데, 이는 코스피 종목 중에 200 종목을 선정하여 해당되는 200개의 종목의 등락과 같이 연동하게 만들어 놓은 지수입니다.

 

렬국 투자 전에 본인 투자 성향을 알아보셔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안정형 투자를 선호하시면 대형주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는 코스피,

공격적으로 고수익 종목 투자를 원하시면 코스닥 종목에 투자하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코스피에 비해 코스닥 종목들이 시총 규모도 작고, 주가의 등락폭도 크기 때문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주식 시장인 미국 시장의 거래소인 나스닥, 다우 존스, S&P 500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스닥(NASDAQ), S&P 500,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JIA)는 미국 주식 시장의 주요 지수로, 각각 다른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나스닥 (NASDAQ)

  • 나스닥 구성: 나스닥 지수는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을 포함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구성 종목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 기술 관련 대기업들이 포함됩니다.
  • 나스닥 특징: 기술주 비중이 높아 IT와 인터넷, 생명공학 등 혁신 산업의 동향을 잘 반영합니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많아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 나스닥 종류: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Index), 나스닥 100(NASDAQ-100) 등 여러 가지 세부 지수가 있습니다. 나스닥 100은 나스닥에 상장된 상위 100개 비금융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2. S&P 500

    • S&P 500 구성: S&P 500은 미국 증권시장에서 가장 큰 500개의 상장 기업들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이 기업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를 대표합니다.
  • S&P 500 특징: 시장 전체의 동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수로, 미국 경제와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각 기업의 규모에 따라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달리합니다.
  • S&P 500 포함 종목: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존슨앤드존슨, JP모건 체이스 등 여러 대기업이 포함됩니다.

3.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DJIA)

  • 다우 존스 구성: 다우 지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30개 대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를 아우르지만, 기술주 비중은 나스닥에 비해 적습니다.
  • 다우 존스 특징: 전통적으로 가장 오래된 주가 지수 중 하나로, 주로 대기업의 주가 흐름을 반영합니다. 가격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주가가 높은 종목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다우 존스 포함 종목: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보잉, 골드만삭스, 맥도날드 등 각 산업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포함됩니다.

[미국 주식 시장 요약]

  • 나스닥: 기술주 중심, 높은 변동성, 성장주 비중이 높음.
  • S&P 500: 미국 경제 전반을 반영, 시가총액 가중, 다양한 산업 포함.
  • 다우 존스: 대표적인 30개 대기업, 가격 가중, 전통적 대기업 중심.

이들 지수는 모두 미국 주식시장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장의 흐름을 반영합니다. 투자자들은 이 지수들을 참고하여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 코스피와 코스닥은 사실상 기업의 규모에 따라 구분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만, 미국 주식 시장의 나스닥과 S&P 500, 그리고 다우 존슨은 규모에 따라 구분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실제로 미국 주식 시장은 가치주와 성장주에 대한 구분이 꽤 명확하게 되어있고, 이러한 기술 성정성이냐, 기존의 가치가 높은 우량주이냐의 차이에 따라 나스닥과 S&P 500, 그리고 다우 존슨으로 거래소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사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한국 일반 투자자들은 대부분 기술주들이 상장해 있는 나스닥 거래소의 종목 중에 투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

대표적으로 테슬라, 앤비디아 등이 있지요 ㅎㅎ

 

오늘은 한국과 미국 주식 시장의 거래소인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과 S&P 500, 그리고 다우 존슨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투자없이는 자산을 키우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시대가 오는데 현명한 투자를 위해서는 기본부터 하나씩 알고갈 수 있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 같이 노력해 봅아요 ^^

 

오늘도 행복한 저녁되시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

 

반응형